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정치부 홍지은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홍 기자, 장호진 안보실장이 전격 교체됐어요. 대통령실은 뭐라고 하나요? <br><br>한마디로 정리하면 그간 외교에 힘을 실은 만큼 이제는 '안보'에 힘을 주어야 할 때라는 메세지가 담겼다고 하더라고요. <br><br>임기 초반 '외교통' 인사들로 미국이나 일본, 중국 등 대외 정세 관리에 집중했다면, 이제는 '안보통'을 등용해 북한 등 군 관련 정세에 초점 맞추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안보실장을 맡았던 장호진 실장은 풍부한 외교 경험을 살려 특보로서 활동하도록 한다는 것이고요. <br><br>Q2. 그럼에도 불구하고요. 이번 인사에 대한 의문들이 많은 거 같아요. <br><br>국가안보실장이면 대통령 비서실장과 함께 장관급인 두 축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><br>이 자리를 임명 7개월만에 교체하니 경질성 인사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윤석열 정부 역대 안보실장 임기를 살펴보면요. <br><br>장호진 실장, 최단 기간만에 자리를 옮기게 됐습니다. <br><br>여권 관계자들은 "짧은 기간에 자리를 옮긴 데에는 경질 성격도 있을 것"이라며 "소통 등 내부 불협화음이 있던 걸로 안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Q3. 안보실장 자리에 신원식 국방장관이 오잖아요. 이 인사는 어떻습니까? <br><br>국방장관에서 대통령실 안보실장으로, 10개월 만에 자리 옮깁니다. <br><br>둘 다 모두 장관급 자리이지만, 대통령 안보실장은 대통령과의 물리적, 또 심리적 거리가 훨씬 가깝습니다. <br><br>대통령 핵심 참모로 수시로 소통한다는 점에서 그 위상은 더 높아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. <br><br>Q4. 그렇다면 왜 신원식 장관일까요? <br><br>윤석열 정부 안보실장으로 첫 군출신 인사입니다. <br><br>안보 분야 강화하겠다는 메시지가 담겼다는 겁니다. <br><br>여당 쪽 이야기도 들어봤습니다.<br><br>신원식 안보실장, 윤석열 대통령과 젊은 시절부터 개인적 연이 있던 숨은 '친윤'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<br>대통령과 신뢰 관계도 두텁다는 평이 많았습니다. <br><br>안보실 핵심 인물 중 하나인 김태효 안보실 1차장과도 각각 청와대 비서관, 국방부 정책기획차장을 맡으며 손발을 맞춘 인연이 있다고 합니다. <br><br>Q5. 앞으로 안보실 구도 어떻게 짜여지는 겁니까? <br><br>외교와 안보 영역이 확실히 좀 분리되는 구도가 예상됩니다. <br><br>정권 초기부터 외교 분야 키를 잡아 온 김태효 1차장이 외교 축을, 안보와 국방 분야는 군 출신인 신원식 실장이 축이되는 구조가 될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Q6. 초대 경호처장인 김용현 처장은 국방장관으로 자리 옮겼잖아요. 예견됐던 건가요? <br><br>대통령실과 국방부에서 김 처장이 국방장관에 낙점될 것이란 이야기는 사실 꽤 나온지 오래된 이야기이긴 합니다. <br><br>대통령의 신뢰가 워낙 두터운 인물이고요. <br><br>Q7. 야당에서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 같아요. <br><br>오늘 발표된 인사 중 김용현 후보자는 국회 청문회를 거칩니다. <br><br>야권에서는 야당의원, 또 카이드트 졸업생 과잉경호 논란, 이른바 '입틀막 사건'논란을 꺼내며 벼르고 있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 역시 김 처장에 대한 장관 인사가 이런 반발을 낳을지는 어느정도 예상한 분위기들이 읽힙니다. <br> <br>대통령이 지난 주 휴가를 마치고 막 복귀한 직후입니다. <br> <br>김경수 복권, 거부권 행사와 함께 이번 인사 역시 정국을 강공 모드로 끌고 가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네,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홍지은 기자 rediu@ichannela.com